PM18 [코드스테이츠 PMB 6기] W7L1-2, 트렌드가 되다. 트렌비 국내 첫 AI 기반 명품 구매 플랫폼 ‘트렌비’는 투명한 가격 비교로 전 세계 최저가 제품을 찾아주고 정품 인증까지 책임지는 플랫폼 서비스다. 창립 첫해인 2017년 거래액 91억 원에서 2019년 말 기준 451억 원으로 5배 급성장했으며, 누적 거래액은 700억 원을 돌파했다.트렌비 MVP박경훈 대표는 영국 유학 중 아웃렛에 많은 여행객들을 보고 왜 이렇게 사람들이 많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이유를 찾기 위해 명품 관련 정보를 크롤링(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해보니 명품은 현지에서 직접 구매할 때 가장 저렴하다는 결과를 찾았다.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명품을 찾아 온라인으로 판매하면 수요가 있겠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고도몰을 이용해 직구 사이트를 만들었다. 시간이 조금 지나자 한국에서 트래픽이.. 2025. 5. 4. [코드스테이츠 PMB 6기] W7L2-1, WAP 아,,아니 APP 아이폰으로 사파리를 키고 네이버에 접속했을 때와 네이버 앱을 통해 접속했을 때가 왜 다른지 궁금했다.특히 사파리에서 네이버를 들어가서 사용 중인데 다시 네이버 앱으로 전환한다는 메시지를 봤을 때! (로또 당첨 확인을 위해 큐알코드를 누르면 네이버 앱으로 전환된다! 로또를 위해 네이버 앱을 깔았었다..)너무 궁금한 문제였는데 이번 강의와 과제를 통해 궁금증이 해결됐다. 과연 왜 카메라 기능을 써야 할 땐 네이버 앱으로 전환되었을까? 앱의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앱은 대표적으로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앱, 모바일 웹, 웹 앱 4가지의 형태로 되어있다.1. 네이티브 앱: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된 앱이다.- 장점(1) Android, IOS 기반의 api로.. 2024. 4. 29. [코드스테이츠 PMB 6기] W6L1 스타벅스, 앱 서비스 분석 존 야블론스키가 쓴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을 참고하여 스타벅스 앱 서비스를 분석해보자~! 스타벅스 앱을 키면 나오는 첫 화면이다. 첫 화면의 구성은 총 5블록으로 상단의 메시지, 별 리워드, Summer e-Frequency, 추천 메뉴, 하단 메뉴바로 구성되어 있다. 보자마자 한눈에 들어오면서 핵심적인 요소들을 배치했다. 이는 밀러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 밀러의 법칙은 보통 사람이 기억하는 단위를 7(±2) 개로 보고 있다. 하지만 7이라는 단위에 빠져 디자인을 제약해서는 안 되고 사용자가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콘텐츠 덩어리를 작게 나눠 정리해야 한다고 당부한다. 스타벅스 앱이 개선되고 놀랐던 점은 다른 앱처럼 하단에 메뉴바를 생성했다는 점이다. 많은 O2O 서비스와.. 2023. 12. 20. [코드스테이츠 PMB 6기] W5L2 빅쿼리,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1. 데이터 파악하기 https://www.kaggle.com/olistbr/brazilian-ecommerce Brazilian E-Commerce Public Dataset by Olist kaggle에 있는 Brazilian E-Commerce Public Dataset by Olist로 데이터 분석을 해보려고 한다. 이 데이터는 실제 브라질의 멀티 마켓 플레이스 사이트인 Olist의 dataset으로 2016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100k 개의 쇼핑 정보를 가지고 있다. DB는 order, order_reviews, order_payment, order_item, order_customer, product, sellers, geolocation와 category_name_translati.. 2023. 10. 12. 이전 1 2 3 4 5 다음